소리온영어

강의내용

제11강-1. 음절과 단어 2

작성자
소리온영어
작성일
2025-07-05 09:42
조회
39
제11강. 음절과 단어 2, Placement 2-호흡법

학습/훈련 목표
[1] 자음이중자와 모음이중자의 개념을 이해하고 식별할 수 있다.
[2] 어말음절의 발음방법을 이해하고, 정확히 듣고 발음할 수 있다.
[3] 영어식 발성을 위한 호흡법을 이해하고, 바르게 호흡할 수 있다.

학습/훈련 내용
[1] 자음이중자와 모음이중자
[2] 어말음절의 발음
[3] [PLMT 2] 영어식 발성을 위한 호흡법
[4] [문법특강] 완료시제
[5] 제11강 훈련 동영상
[6] 제11강 코칭노트
[7] 제11강 과제

 

[1] 자음이중자와 모음이중자
(1) 자음이중자 (Consonant digraphs)
자음이중자는 두개의 자음 알파벳이 만나 하나의 다른 자음소리로 발음되는 자음군의 일종이다. 자음이중자는 하나의 자음 음소에 대한 특별한 철자법으로 간주한다. 예: ch, ck, gh, kn, mb, ng, ph, sh, th, wh, wr 예: chair, fish, long                                                        


자음 이중자는 두개의 알파벳이 만나 하나의 소리를 내므로 항상 붙어 다니고, 따라서 음절 나누기 할 때도 둘로 나누지 않는다. 즉, phantom 이라는 단어는 두자음을 “ph라고 쓰고, /f/로 발음한다” 라고 생각하면 된다.

한국어에서는 초성에 이중자가 올 수 없고, 종성에만 ㄺ, ㅄ 등 (“닭” “값”) 몇 개 안되는 이중자가 쓰이는 것에 반해, 영어에는 dg, dj, ng, ph, sh, ck, ch, gh, ss, th, wh, kn, wr, mb, tch 등 아주 다양한 자음이중자가 있다.

자음이중자는 일반적으로 어두, 어중, 어미 어디에나 올 수 있는데, 이중자에 따라 어미에만 오고 어두에는 오지 않는 이중자도 있다 (예: -ng)

자음이중자는 한 가지 자음 소리만 내는 경우도 있고, 자음 이중자가 오는 환경에 따라 여러가지 자음 소리를 내는 경우도 있고, 혹은, 두 자음 중 하나의 자음이 묵음인 경우도 있다.

wh-    /h/ whole, whom, whose (w묵음)  /w/ when, where, white (h묵음)

wr-    /r/ writing, wrap, wrong (w묵음)

kn-    /n/ knight, knife, knock (k묵음)

dg      /ʤ/ badge, judge, lodging

dj       /ʤ/ adjourn, adjust, adjective

ph      /f/ phantom, alphabet, autograph

sh      /ʃ/ shadow, cushion, blush

ch      /ʧ/ charge, child, arch          /k/ chemistry, Christmas, anchor /ʃ/ chef, brochure, machine  

gh   /g/ ghost, spaghetti, ghetto /f/ cough, enough, rough                     /묵음/ bought, caught, straight

th       /θ/ thanks, anthem, bath     /ð/ than, bother, smooth                    /t/ Thailand, Thames, Theresa

ss       /s/ across, boss, mess          /z/ dessert, dissolve,

-ck     /k/ duck, luck, back

-ng    /ŋ/ bang, darling, acting

-mb   /m/ bomb, chimb, climb (b묵음)

-tch   /ʧ/ hatch, watch, fetch (t묵음)

(2) 모음이중자 (Vowel digraphs = vowel teams)
영어의 모음이중자는 두개의 모음 알파벳이 결합하여 하나의 모음 음소로 발음되는 형태이다. 모음이중자는 두개의 모음 알파벳이 만나 하나의 소리를 내므로 항상 붙어 다니고, 따라서 음절 나누기 할 때도 둘로 나누지 않는다. 모음 이중자는 하나의 모음 음소에 대한 독특한 철자법으로 간주한다. 즉, teach라는 단어 안의 모음을 “ea라고 쓰고, /i/로 발음한다” 라고 생각하면 된다.

모음 이중자에는 ai, ay, oa, ue, ui, oi, oy, ow, au, aw, oe, ie, ou, ea, ou 등이 있다. 예: play /pleɪ/, soil /sɔɪl/, beaver /bivɚ/

모음 이중자는 한 가지 모음 소리만 내는 경우도 있고, 환경에 따라서 여러가지 모음 소리를 내는 경우도 있는데, 두 개의 모음 알파벳이 하나의 모음소리를 내는 경우, 일반적으로 첫째 모음의 알파벳 이름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즉, a à /eɪ/, e à /i/, i à /aɪ/, o à /oʊ/, u à /ju/ 로 발음). 여러가지의 모음소리를 내는 경우도 그 중 한가지는 앞 모음의 알파벳 소리를 내는 경우가 많다.

ai       /eɪ/ train, pain, main

ay      /eɪ/ play, stay, say

ea      /i/ eat, teach, beach               /ɛ/ bread, deaf, head              /eɪ/ steak, great, break

ie     /aɪ/ pie, fries, tie                   /i/ piece, niece, thie

ou      /aʊ/ out, count, pouch            /oʊ/ soul         /u/ youth, soup, group

oa      /oʊ/ boat, goat, road

ow    /oʊ/ flow, grow, show

oe      /oʊ/ toe, aloe, woe,               /u/ canoe, horseshoe

ui        /u/ cruise, fruit, recruit

ue    /ju/ argue, rescue, statue

oo      /ʊ/ book, cook, shook           /u/ boo, noon, zoo

oi     /oɪ/ oil, toilet, poison

oy      /oɪ/ boy, deploy, convoy

au      /ɔ/ cause, fraud, vault

aw     /ɔ/ saw, law, straw

[주의] diet, create, realize, oasis, piano와 같은 단어에서 ie, ea, oa, ia는 모음이중자가 아니라,  di-et, cre-ate, re-a-lize, o-a-sis, pi-a-no 와 같이 두 개의 모음소리가 나란히 온 것으로서, 각각의 모음 소리가 살아서 각각의 음절을 구성하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자음이중자/모음이중자 List (다운로드)


 
[2] 어말음절의 발음
[훈련 Tip] 어말음절의 발음은 청취가 어려워서 많은 훈련을 요구한다. 아래 학습내용은 훈련동영상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서, 일단 한 번 쭉 읽어보고 어떤 내용인지 확인한다. 내용을 암기하려 하지 말고, 이해가 안가는 것은 일단은 읽고 넘어간다. 다만, 훈련동영상으로 훈련시 반복 연습을 통해 몸으로 바로 익히도록 한다.

(1) 음절자음의 발음 (5강 복습)
일반적으로 하나의 음절을 구성하려면 하나의 모음소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모음소리는 단독으로 하나의 음절을 구성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음소리는 단독으로 음절을 구성할 수 없다. 그러나, 모음 없이도 자음만으로 하나의 음절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는 자음을 음절자음이라고 한다. 음절자음에는 /l, r, m, n/이 있고, 음절자음은 단어 끝에 오면서 항상 비강세이다.

1. 음절자음 /l/: 음절자음 l은 dark l 소리로 발음된다. (예) bot-tle /ˈbɑtl/,    lit-tle /ˈlɪtl/     sad-dle /ˈsædl/     mud-dle /ˈmʌdl/,
rum-ble /ˈrʌmbl/     people /ˈpipl/     Se-at-tle /siˈætl/     res-pon-si-ble /rɪˈspɑnsəbl/     cou-ple /ˈkʌpl/


2. 음절자음 /r/: 단어의 어미에서 /비강세 ə+r/로 오는 경우, 모음 /ə/ 발음 시 혀가 이미 /r/ 소리를 발음하기 위한 위치로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r/음에 자연스레 통합되면서 /ə/ 의 존재감이 없어져 실제로는 /r/소리만 강하게 발음된다.
(예) com-put-er /kəmˈpjutər/ doc-tor /ˈdɑktər/ speak-er /ˈspikər/ pa-per /ˈpeɪpər/        din-ner /ˈdɪnər/

3. 음절자음 /m/: 음절자음으로 쓰일 때 비음 /m/ 소리만 난다. (예) pri-sm /prɪzm/ spa-sm, /spæzm/       rhyth-m /ˈrɪðm/     en-thu-si-as-m /ɪnˈθuziæzm/

4. 음절자음 /n/: 음절자음으로 쓰이는 /n/앞에 오는 모음 /ə/은 /n/음에 통합되어 존재감이 없어지면서 실제로는 비음 /n/ 소리만 강하게 발음된다. (예) but-ton/ˈbʌtn/, giv-en /ˈɡɪvn/, heav-en /ˈhɛvn/,           sud-den /ˈsʌdn/         hid-den  /ˈhɪdn/ 

 자음+sion /ʃən/ 예: discussion /dɪˈskʌʃən/, apprehension /ˌæprɪˈhenʃən/, compulsion /kəmˈpʌlʃən/
 r 혹은 모음+sion /ʒən/ 예: version /ˈvʌrʒən/, excursion /ɪkˈskʌrʒən/, immersion /ɪˈmʌrʒən/, decision /dɪˈsɪʒən/, occasion /əˈkeɪʒən/, television /ˈteləˌvɪʒən/

(2) 규칙동사의 과거형 (-ed ending) 발음      

일반규칙: 규칙동사의 과거형 어미 -ed는 동사원형의 마지막 소리에 따라 원칙적으로 /t/, /d/ 혹은 /ɪd/ 중 하나로 발음된다.                            

무성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과거형 -ed는 /t/로 발음된다. 예: talked, worked, hoped, packed, washed, flipped, watched

유성자음 혹은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과거형 -ed는 /d/로 발음된다.  예: learned, closed, loved, saved, leaned, believed

-t, -d로 끝나는 동사의 과거형 -ed는 /ɪd/로 발음된다.
(i) 자음+/tɪd/, /dɪd/ 인 경우, /t/, /d/는 파열음. 예: acted, lifted, interrupted, folded, ended, bonded, landed


      [참고] /nt+ɪd/ 로 n 다음에 t가 오는 경우, t는 흔히 탈락된다. 예: wanted, counted, pointed, planted, punted

     (ii) r 혹은 모음+/tɪd/, /dɪd/ 인 경우, /t/, /d/flap (탄설음) (중요 !!!)
예: /-tɪd/  educated, related, stated, negotiated, excited, invited, ignited, united, contributed, distributed, noted, voted
/-dɪd/ worded, needed, graded, added, exceeded, impeded                                                                       


[참고] 규칙동사의 과거형으로 문장이 끝날 때

/t, d/는 약파열되고,  (예) /t/ The ship was launched.  /d/ So I was bummed. Things changed. He moved.
/ɪd /의 /d/는 비파열된다. (예) /ɪd/ The plane landed.


그-러-나,
구어체에서는 규칙동사의 과거형-ed (/t, d, ɪd/) 발음 시, 일반규칙과 달리 탈락 등 여러가지 소리변화 현상들이 나타난다!

즉, 일반규칙으로는 규칙동사의 과거형 /t/, /d/, 혹은 /ɪd/ 로 정확히 발음해야 하지만, 구어체 문장에서는 발음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위해 /t/, /d/, /ɪd/ 발음시 탈락, 약파열, 비파열, 연음, 혹은 동화 등의 다양한 소리변화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로 인해 학습자들은 듣기와 발음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① 자음으로 끝나는 규칙동사의 과거형 -ed 발음 /t/
(i) /t/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단어가 오는 경우, /t/음이 탈락되어 마치 원형동사처럼 발음된다. 이는 단어안 혹은 단어사이에 3개의 자음이 연이어 오는 경우 가운데 자음을 흔히 탈락시키는 것과 (예: exactly /ktli/ à/kli/) 같은 원리이다.
예: watched the movie, worked the, I stuffed the blanket.

(ii) /t/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가 오는 경우, /t/는 대부분 다음 단어에 연음된다. 예: I kicked it. /kik tit/, walked a lot /wɔk tə lɑt/

(iii) /t/ 뒤에 you (your)가 오는 경우, /t/와 /j/가 동화되어 /ʧ/로 발음된다. 예: helped you. /help ʧu/

② 유성자음 혹은 모음으로 끝나는 규칙동사의 과거형 -ed 발음 /d/
(i) /d/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단어가 오는 경우, 사람에 따라 /d/를 탈락시키거나, 약파열 시키거나 혹은 비파열 시켜서 발음한다.
이처럼 원어민 각자의 발음 선호도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으로 발음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이 중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발음한다.
1. /d/를 탈락 시키거나, (예: I begged for a dog when I was a little kid, because I changed my mind, bummed that,   smoothed themselves,   drained the water,   signed with,   signed the,   signed by,   opened the door)
2. /d/를 약파열 시키거나, (예: I begged for an interview, bummed for).
3. /d/가 비파열 시킨다. (예: I begged for a dog, Each hole has been drilled to, I agreed with you,   He sued the company,    plowed through,   weighed my options,   toyed with,   booed by)

(ii) /d/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가 오는 경우, /d/음이 flap (탄설음) 되면서 다음 단어와 연음 된다.  예: He was fired on Monday,  I agreed it, lied about,   reviewed a,   begged all,   bummed out,   signed into the law

(iii) /d/ 뒤에 you (your)가 오는 경우, /d/와 /j/가 동화되어 /ʤ/로 발음된다. 예: fired you /faɪr ʤu/ , I loved you /lʌv ʤu/, missed you / mɪs dʒu/

③ -t, -d로 끝나는 동사의 과거형 -ed 발음 /ɪd/                        

(i) /ɪd/ 뒤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오는 경우, /d/는 탈락되지 않고, 비파열로 발음된다. 예: ended my
(ii) /ɪd/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가 오는 경우, /d/는 flap (탄설음) 되고 다음 단어에 연음되어 발음된다.
예: They needed a break, It lasted about an hour, ended up, acted on
(iii) /ɪd/ 뒤에 you (your)가 오는 경우, /d/ 대신 /ʤ/로 동화되어 발음된다. 예: ended your /endɪ ʤər/

(3) 명사의 복수형 -s, -es 발음

① 명사의 마지막 소리가 무성음으로 끝날 때, -s, -es 는 /s/로 발음된다. 예: ships /s/
② 명사의 마지막 소리가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날 때, -s, -es 는 /z/로 발음된다. 예: beds, trees, cafes, apples
③ 명사의 마지막 소리가 마찰음 /s, z, ʃ, ʒ/ 혹은 파찰음 /ʧ,ʤ/로 끝날 때, 복수형은 -es 이고 /ɪz/로 발음된다. 예: wishes /ɪz/

[3] [PLMT 2] 영어식 발성을 위한 호흡법
횡격막 호흡 연습
더 많은 공기를 사용하고 성대 부담을 줄여 안정적인 소리를 내고 영어식 발성에 도움을 주는 횡격막 호흡법에 대한  영상을 시청하고, 영상에서 알려준 방법에 따라 횡격막 호흡을 연습한다.

- 매일 매일 시간 나는 데로, 산책할 때, 횡격막호흡을 연습한다.

- 횡격막 호흡의 원리를 생각하면서 연습한다.

- 횡격막 호흡 훈련 시작 후 하루~이틀 정도 어지러움증을 겪을 수 있지만 곧 없어진다. 운동을 안 하다가 갑자기 운동하면 근육이 아픈 것과 마찬가지 원리이다.

- 횡격막 호흡을 연습하다 보면, 마치 아코디언을 연주하는 것과 같은 모양새라는 생각이 든다.

- 앉아있을 때나 서있을 때 나도 모르게 자연스럽게 횡격막호흡이 몸에 베일 때까지 꾸준히 연습한다. 완전히 자연스러워질 때까지 수 주 혹은 한 달 이상 걸린다.

- 횡격막호흡은 발음과 발성의 기초가 되고, 또한, 목소리가 좋아지고 건강에도 좋다.

 

[4] [문법특강] 완료시제
동영상 강의 시청하고 학습하기. 

 

[5] 제11강 훈련 동영상
1. 자음이중자, 모음이중자 >> 동영상의 내용을 따라하면서 2회 반복 훈련
2. 어말음절의 발음 >> 동영상의 내용을 따라하면서 2회 반복 훈련
3. 이중자, 어말음절의 발음 (집중훈련버젼) >> 1, 2번 full version 2회 반복 후, 집중훈련버전으로 매일 반복 훈련
4. [문장 8] 5형식 - 목적보어 (영상없음) >> 책의 내용 학습하고 예문 암기하기

 

[6] 제11강 코칭노트
자음, 모음의 학습과 훈련이 끝난 지금의 시점에서, 우리가 그간 일상에서 읽었던 단어들의 실제 발음이 원어민의 발음과 많이 다르다는 사실을 차츰 깨닫게 되는데 이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앞으로 이미 알고 있는 단어들의 원어민 발음을 들으면 그것이 진짜 맞는 발음이므로 그대로 받아들이며 자연스럽게 익힌다.
예: go home /goʊ hoʊm/,   law school /lɔ skul/,   Peter /pitər/,   water / wɔtər/ 또는 /wɑt̬ər/

[7] 제11강 과제
1. 11강 수업내용 공부하기
2. 훈련 동영상으로 훈련하기
3. 자음이중자와 모음이중자 리스트 출력하여 책상 앞에 붙이고 수시로 익히기
4. 횡격막호흡 훈련하기
5. 영어문장의 구조와 유형 7 (5형식) 공부하기
6. 아직도 안되는 자음, 모음 집중 훈련하기
7. 훈련일지 작성하고 카페 과제방에 올리기
8. 녹음과제: 다음 내용을 녹음하여 카페 과제방에 올리기
① 음절자음: metal, mother, bottom, button
② -sion 발음: discussion, version
③-ted, -ded 과거형 발음: educated, stated, worded, needed
④ 동사과거형의 소리변화: (소리변화 되는 데로 발음) watched the movie,  I kicked it.  He was fired on Monday.  lied about, signed into law.  I loved you. helped you.

[참고] 성인학습 참여 저해요인에 대한 연구
성인학습 참여 연구에 관한 대표적 학자인 크로스, 다켄월드와 메리엄 (Cross, Darkenwald & Marriam, 1985)의 연구 논문에 따르면 성인들이 학습 참여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요인은 상황적 요인 (situational barriers) 으로서 대표적 사유는 학습할 “시간이 없어서” 였다.



 

최근 권두승 (2023)의 연구에서 보고된 성인학습 참여 저해요인은 크로스의 연구 결과와 별반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2023년 발표된 국가평생교육통계 연보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성인이 학습에 참여하지 않는 가장 보편적인 이유는 여전히 “시간 부족” 때문이었다.



결론적으로, 성인들은 예나 지금이나 대부분 생업과 가족부양으로 인해 너무 바빠서 학습할 시간이 없다는 것이다. 즉, 나만 바쁘고 시간이 없는 것이 아니라 남들도 모두 바쁘고 시간이 없다는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하는 일부 성인 학습자들은 없는 시간을 쪼개어 학습에 투자하고 그러면서 남들 보다 앞서가고 끊임없이 성장해간다.

이번 기회에 꼭 영어를 정복하겠다는 마음을 먹었다면, 이번이 내 인생의 마지막 기회라는 굳은 결의로 (현실적으로도 마지막 기회!) 앞으로 남은 9주의 기간 동안 취미, 여가, 휴식 등 개인 생활을 과감히 포기하고 9주 후 수능시험 보는 수험생의 절박한 심정으로 영어 훈련에 매진하여 반드시 영어 광명의 세상으로 들어가야 한다!

앞으로 포기한 9주간의 개인 생활에 대한 보상은, 앞으로 남은 인생 동안 “미드와 영화 수준의 영어가 시원하게 들리고, 발음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면서 대한민국 0.001% 안에 드는 진정한 영어 실력자”가 되는 것이다!
위로 스크롤